쉬운 설명 - 미국 셧다운 뭔가요?

이미지
쉽게 이해하는 미국 셧다운 최근 뉴스에 미국 연방 정부가 문을 닫는다는 '셧다운' 소식이 자주 들리죠. 이건 정부가 하는 일을 잠시 멈춘다는 뜻입니다. 의회(입법부)가 정부(행정부)에 돈 쓸 예산을 주지 않을 때 벌어지는 일인데요. 이는 견제와 균형을 기본으로 하는 미국의 정치 체제에서 행정부가 입법부에 맞서는 일종의 대응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의회가 예산 승인을 망설이는 이유는 바로 미국 국가 부채가 법으로 정한 한도에 꽉 찼기 때문입니다. 예산을 더 쓰면 나라가 파산(디폴트) 할 수도 있는 상황인 거죠. 세계에서 가장 잘 산다는 미국이 사실은 엄청난 빚을 지고 있습니다. 미국은 빚이 너무 많아지는 걸 막기 위해 나라가 질 수 있는 부채의 상한선(부채 한도)을 법으로 정해두고 있어요. 이 한도를 넘어서면 나라가 부도가 나기 때문에, 의회는 그때마다 이 한도를 늘리는 법을 고쳐왔습니다. 미국 빚이 이렇게 많아진 이유 미국이 빚더미에 앉게 된 건 간단합니다. 들어오는 돈(세금)보다 나가는 돈이 훨씬 많았기 때문이에요. 세금을 적게 걷음: 국민들의 인기를 얻기 위해 세금을 깎아주는 정책을 펴기도 했고, 돈을 많이 씀: 전쟁을 하거나 복지 프로그램 등에 돈을 마구 썼습니다. 경제 위기: 금융 위기 같은 큰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빚이 계속 늘어났습니다. 지금 미국의 빚은 나라가 1년 동안 벌어들이는 돈(국민 총생산, GDP)의 무려 137% 정도나 됩니다. 1년 살림살이 규모를 훨씬 뛰어넘는 빚을 지고 있는 겁니다. 빚이 많아도 미국이 버티는 이유 이렇게 빚이 많아도 미국이 무너지지 않는 건 두 가지 큰 이유가 있습니다. 기축 통화 '달러': 전 세계 경제의 기준이 되는 돈이 바로 달러입니다. 안정적인 미국 국채: 미국 정부가 빚을 갚기 위해 발행하는 국채(나라 빚 문서)는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처로 여겨집니다. 그래서 이 채권을 사려는 사람이 항상 많죠. 빚 많은 미국이 ...

[노 레스트 포 더 위키드] 작은자비 퀘스트 해결 방법

이미지
상당히 잘 만든 게임 '노 레스트 포 더 위키드'의 초반 퀘스트 인 [작은 자비] 를 마법상점 주인 엘레노어를 만나면 받는 퀘스트 입니다. 퀘스트 내용은 "마법 부여사 엘레노어를 만났다. 엘레노어는 거지 골목의 집에 어느 가족이 살아 있는지 확인해 달라고 했다. 자기가 그 가족한테 강력한 룬을 팔았다고 한다" 로 아래 캡쳐 화면과 같이 거지 골목에 있는 집에 방문하여 해당 가족이 이상 없는지 확은하고 알려주는 퀘스트 입니다. 마을을 돌아디니다 보면 딱 봐도 못사는 구역이 있습니다. 이 구역에 아래 사진 처럼 유난히 빨간색 문이 있습니다. 이 곳이 엘레노어가 부탁한 거지 골목의 집입니다. 집안으로 들어가면 한 아이가 있고 말을 걸면 부모님이 저녁때 오신는다고 이야기를 해줍니다. 하지만 무시하고 아래 캡쳐 화면처럼 순서대로 이동합니다. 게임에 익숙하지 않으면 이렇게 집 기둥위로 이동할 수 있는게 눈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이 퀘스트를 해결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에 순서대로 이동하면 아래 화면처럼 집에 복층 공간이 나옵니다. 여기에 들어가서 상황을 확인하면 퀘스트가 마무리 되고 퀘스트를 부탁한 '엘레노어' 한테 말해주면 퀘스트가 종료 됩니다. (이동한 공간의 내용은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살짝 스포가 될 수 있어 더 설명하지는 않았습니다.) 이렇게 생각보다 이동하는 방법만 알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퀘스트 이지만 저 같은 경우는 집안 위에 있는 기둥으로 이동할줄 몰라서 한참동안 해결하지 못했던 퀘스트 였습니다. 혹시 저처럼 퀘스트를 해결 못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간략하게 공략 리뷰를 정리해 봤습니다^^

APEC 뭔가요? 유래, 정의

이미지
APEC은 1989년도에 호주 총리에 의해서 처음으로 제한이 됐습니다. 처음에는 각료급 회의로 시작을 했는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있는 국가들의 경제 협력과 경제 통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큰 지역 경제 협력체를 만들자라고 하는 이런 굉장히 담대한 구상이었습니다. 이것이 1993년도 클린턴 대통령때 클린턴 행정부에 의해서 시애틀 회의 때부터 정상급 회의로 격상이 됐습니다. 매년 정상들이 만나서 아시아 태평양 역내의 여러 가지 현안을 논의하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이러한 경제 협력체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APEC 회원국의 인구는 세계 인구의 약 40%에 해당하며 전 세계 국내 총생산의 약 59%를 세계 교역량의 절반을 책임지는 에이팩은 세계 최대 경제협력체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노 레스트 포 더 위키드] 채소케이크 만드는 법

이미지
정말 잘 만든 게임 '노 레스트 포 더 위키드 (NO REST FOR THE WICKED)' 게임을 하다 보면 게임 중에 각 상점들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퀘스트가 있는데 '집 짓는 다노스'에 말을 걸면 [새크라멘트 재건 -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 각 상점들을 업그레이드 해야 더 좋은 소재, 장비, 레시피 등을 구매할 수 있어 캐릭터를 더 강하게 성장 시킬 수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 중 '다노스의 일꾼'에 보면 음식으로 일꾼들의 레벨을 올려서 상점 건축시간을 올려 줄 수 있는데 여기에 [채소 케이크]를 만들어야 하는데 어떻게 만들어 야하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선 음식점을 하는 '고든'의 식당을 업그레이드 해서 [채소케이크] 레시피를 구매 해야 합니다. 레시피를 구매 했으면 보통 음식을 만들려고 '모닥불'을 찾아서 음식을 만들려고 합니다. 하지만 모닥불에서 구매한 채소케이크 레시피를 확인하면 [채소케이크]가 보이지 않습니다. 이제 음식을 만들러 다시 '고든' 식당에 있는 주방 화덕에서 음식을 만들어 봅니다. 고든 식당 화덕에서 음식을 만들려고 보니 아까 구매한 '채소 케이크' 레시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엠에서는 음식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이 모닥불과 화덕 두 가지 공간인데 모닥불에선 간단한 음식을 만들 수 있고 화덕에서는 요리같이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나중에 마을에 집을 구매하면 화덕을 집에 만들어 놓을 수 있어서 편하게 음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쉬운 설명 : 전세, 월세, 매매 차이점 정리

이미지
  사람들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집 관련해서 "나 집 샀어", "전세로 이사갔어", "지금 월세가 너무 비싸" 같은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습니다. 이미 알고 있다면 어려운 말은 아니지만 사회초년생으로 아리송 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집에관련 매매, 전세, 월세에 대해서 쉬운 설명으로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리송하게 알고 계셨다면 한번 가볍게 읽어 보고 개념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매매란 뭔가요? 매매는 쉽게 말해 집을 사고, 파는 것을 말합니다. 집같이 땅에 붙어 있어 움직일 수 없는 자산을 부동산이라고 하는데 부동산의 소유권을 가격을 지불하고 사고 파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집을 사고 파는 것을 매매한다라고 합니다. 이런 매매 대상은 아파트, 빌라 등의 집 말고도 토지나 상가 등도 해당이 되고 매매는 완전히 내 소유가 되기 때문에 아래 설명할 전세, 월세와는 달리 해당 매매한 집의 주인이 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소유가 완전히 내거이기 때문에 내 마음대로 집을 고치는 리모델링하거나 나중에 다시 팔 수도 있습니다. 또한 전세나 월세를 줄 수 도 있고, 나중에 자녀에게 상속해 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매매의 단점은 온전히 사는 것이기 때문에 집 가격을 모두 지불 해야 합니다. 그래서 비용이 많이 들고 여기에 더해서 집을 구입하면 내야하는 세금 취득세, 등록세와 중개 수수료 등의 추가 비용도 생깁니다. 만약 집을 구입할 때 세금과 중개 수수료 비용까지 지불할 돈이 충분히 있다면 문제가 없지만 집 가격이 워낙 큰 금액이기 때문에 대출을 받는다면 대출 이자 까지도 부담이 되니 꼼꼼히 따져 봐야 합니다. 집을 매매 할때는 딱 집 가격의 돈만 준비 해서는 안되고 내야할 세금 비용과 수수료 등의 비용, 대출 받는다면 대출 이자비용까지 생각해서 매매 계획을 해야 합니다. (세금과 중개 수수료는 생각보다 큽니다 ㅜㅜ) 전세란 뭔가요? 전세는 세계적으로 한국에만 있는 독특한 주...

전통 윷놀이 제대로 즐기기: 초보자를 위한 상세 가이드

이미지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설날에 온 가족이 모여 윷놀이를 즐겼습니다. 윷놀이에 사용되는 윷은 나무를 깎아 만든 4개의 막대기로, 한 면은 둥글고 다른 면은 평평합니다. 윷가락을 던져서 바닥에 떨어지 모양으로 도, 개, 걸, 윷, 모 라고 부르는데 아래 그림 처럼 각각의 명칭은 동물들을 뜻합니다. 윷가락 4개를 던져서 나온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부릅니다. 도(돼지) : 윷가락 한 개만 뒤집어진 경우 - 1칸 이동 개(개) : 윷가락 두 개가 뒤집어진 경우 - 2칸 이동 걸(양) : 윷가락 세 개가 뒤집어진 경우 - 3칸 이동 윷(소) : 윷가락 네 개가 모두 뒤집어진 경우 - 4칸 이동 모(말) : 윷가락 네 개가 모두 엎어진 경우 - 5칸 이동 뒷도(백도) : 4개의 윷가락 중 1개 뒷면에 보통 X 표시를 해 두고 도가 나왔는데 X 표시가 있을 때 - 1칸 뒤로 이동 윷놀이의 도, 개, 걸, 윷, 모는 각각 친근하고 농사에 도움을 주는 동물들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돼지, 개, 양, 소, 말 순서로 되어 있는데, 이는 각 동물이 한 번에 움직이는 거리와 속도, 활동량을 고려해 느린 순서부터 빠른 순서로 정해진 것입니다. 윷놀이 이름의 유래 보통 놀이에 이름을 지을 때 상징되는 것으로 이름을 짓게 되는데 도, 개, 걸, 윷, 모 중 처음에 나오는 도나 마지막 모를 따서 '도놀이'나 '모놀이'라고 안하고 윷놀이라고 하는 이유는 뭘까요? '윷'에 해당하는 동물은 바로 '소'입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소를 이용해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소는 가장 중요하고 소중한 가축으로 여겨졌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윷놀이라는 명칭은 농경 사회에서 소가 지녔던 중요성을 강조하며 비롯된 것이라 전해집니다. 윷 놀이 하는 방법 윷놀이를 하기 위해서는 윷가락 4개, 윷판, 그리고 말이 필요합니다. 말은 보통 한 팀당 4개를 사용하지만, 놀이 시간이 너무 길어져 시간을 줄이고 싶다면 1~2개만으로도 ...

가성비 끝판왕 게임패드, 게임서 사이클론2 내돈내산 개봉기 및 솔직 사용 후기

이미지
게임서는 게임기 주변기기를 만드는 회사로 게임패드를 꾸준히 만들어 왔습니다. 그중에서 상당히 좋은평을 받고 있는 '사이클론2' 제품이 가격이 많이 착해져서 이번에 충전 거치대 셋트로 주문해서 개봉기와 사용후기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다. 개봉기 전 이패드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PC 스팀게임, 닌텐도 스위치, iOS, Android 모바일 기기 연결을 모두 지원합니다. 구매한 제품은 블랙 제품으로 흰색 제품은 개인적인 취향으로 장난감 같아서 블랙 제품을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게임서 사이클론2 개임패드 개봉기 왼쪽은 게임패드 거치대 오른쪽은 사이클론2 제품 박스 입니다. 국내 정발을 하지 않다보니 직구로 구매하게 되었고 박스에는 기본 중국어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저는 직구 제품을 주문하고 약 5일 정도후에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일요일 밤에 주문해서 금요일에 받음) 게임패드 박스를 열어보면  기본 황색 단단한 박스 안에 반투명 흰색 비닐안에 제품이 싸여 있습니다. 제품안에 기본 구성은 왼쪽 흰봉투는 설명서와 전용 동글이, 오른쪽은 게임패드, 위에는 USB 연결선이 들어 있습니다.  전용 2.4G USB동글에는 연결을 초기화 하는 스위치가 있습니다. 거치대가 없는 경우 컴퓨터 USB에 꼽으면 되고, 전용 거치대를 구입했다면 거치대에 동글이를 꼽는 곳이 따로 있습니다. 설명서는 직구 제품이라 모두 중국어로 되어 있으며, 한글 매뉴얼은 사진 아래 매뉴얼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 게임서 사이클론2 한글 매뉴얼 블로그 포스팅 바로가기 아날로그 스틱에는 기본 흰색 적당히 딱딱한 스폰지 가드로 보호되어 있습니다. 사이클론2 패드 기본 모습입니다. 검정색에 손잡이 부분은 반투명 입니다. 재잘과 흰색 패턴들은 사진으로 볼 때보다 더 실물이 괜찮으며 싸보이지 않고 나름 고급졌습니다. 게임패드의 왼쪽 십자 버튼과 아날로그 스틱 부분입니다. 십자버튼은 느낌은 딸깍 거리는 느낌이 나쁘지 않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