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봉기] 가성비 너무 좋은 게임패드 '포팩트 GC01' - 설명서 포함

이사를 하다가 엑박패드가 부서지는 바람에 비싼 엑스박스 패드말고 가격 서드파티 제품들도 많아서 이번에는 가성비를 위해서 유선에 가격이 착한 제품을 찾다가 '포팩트 GC01' 제품을 구입하게 되었고 사용해 보니 패드가 상당히 괜찮아서 개봉기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안에 동봉된 설명서에는 쉽게 다양한 기능 설정들을 할 수 있어서 설명서의 내용도 아래 정리해 놓았으니 이 제품을 사용하고 계신데 설명서를 잃어버리신 분들은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포팩트 GC01 유선 패드 개봉기
제품 박스 입니다. 흰색에 제품 사진과 모델명으로 깔끔하게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제품 뒷면에는 PC, 닌텐도 스위치, 안드로이드, PS3 등을 지원한다고 나와있으며 모션센서도 지원하고, 자이로센서 6축, 듀얼 진동을 지원하고 나와있습니다.
박스 측면에는 패드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부가기능과 지원 플랫폼에 대해서 그림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제품 박스를 개봉하면 투명 플라스틱 케이스에 흰색 비닐에 패드가 스크래치가 나지 않게 잘 포장되어 있습니다.
기본 구성에는 GC01의 사용자 매뉴얼과 패드 본체가 들어 있습니다.
아날로그스틱에는 두툼한 스폰지 가드가 되어 있어 나름 꼼꼼함이 좋았습니다.
패드 기본 모습입니다. 중앙 윗쪽에는 기본 설정, 옵션 버튼과 터보, 캡쳐(스위치용) 버튼등이 있으며 아날로그 스틱과 십자 버튼의 촉감은 굉장히 만족스러웠습니다. 다만 X, Y, A, B 버튼의 눌림이 엑박패드 보다는 조금 키압이 있지만 게임을 장시간 동안 해보았는데 저한테는 크게 문제되지 않았습니다.
뒷면에는 LT, RT 버튼의 깊이 감을 조절할 수 있는 아래 사진에 빨간색 동그라미 '트리거 락' 버튼이 존재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주면 LT, RT 버튼의 눌림 깊이를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고급 게임패드에 있는 추가 버튼 ML, MR 버튼도 있어 간단하게 메유얼을 보고 키설 정을 할 수 있습니다.
패드에 유선 이어폰 3.5 단자가 있습니다. PC연결에서는 지원하지 않으며, 닌텐도 스위치 연결시 지원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아직 테스트 해보지는 못했습니다.
이 제품은 유선연결 패드입니다. 패드에 연결된 부분은 자체 고정되어 있어 선을 뽑거나 할 수 없습니다. 하진만 견고하게 되어 연결되어 있습니다. 아쉬운 점은 선이 고정이라 패드 보관시 선까지 한께 보관하기가 좀 지저분할 수 있다는 점은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USB로 PC에 연결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LED가 예쁘게 들어오고 아날로그 스틱의 LED와 X, Y, B, A 버튼의 LED는 각각 구분해서 On/Off를 할 수 있고 아날로그 스특의 LED는 색상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X, Y, B, A에 불이 들어오는 게 너무 좋았습니다^^
LED가 들어오는 게임패드의 옆 모습 입니다.
사용 후기
몇일 동안 한참을 게임패드를 사용해서 하데스, 노 레스트 포더 위키드, 데드셀등의 게임을 했습니다. 그립감, 버튼느낌, 묵직함으로 불편없이 스팀게임을 즐길 수 있었습니다. 가격 대비 유선인 단점이 있지만 많은 부가 기능들을 제공해 주었습니다.
사용해 본 결과 게임 패드를 입문자 또는 착한 가격으로 게임패드를 원하시는 분들에게 추천 합니다.
GC01 게임패의 사용자 메뉴얼
메뉴얼에 패드가 제공하는 부가기능들에 대해서 설정하는 방법이 쉽게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매뉴얼이라는 것은 있다가도 사라지는 것이라 찾아 보기 쉽게 설명서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포스팅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매뉴얼이 필요하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게임패드 각 명칭
LED 표시등
게임패드는 다양한 플랫폼으 연결하기 때문에 플랫폼마다 4개의 LED불이 각각 들어 옵니다.
- LED 1 : 닌텐도 스위치
- LED 2 : PC 연결
- LED 3 : PS3
- LED 4 : 안드로이드 (휴대폰, 또는 테블릿)
각 플랫폼과 연결하기
윈도우 PC연결
컨트롤러를 USB 케이블로 윈도우 컴퓨터에 연결하면 "xbox 360" 모드로 인식됩니다. 두 번째 LED 표시등이 고정적으로 켜집니다. 이 모드는 테슬라 차량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홈 버튼을 3초 동안 누르면 D-input 모드로 전환되며 세 번째 LED가 켜집니다. Start+L3를 동시에 눌러 D패드와 왼쪽 조이스틱의 기능을 교환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직접 추가한 내용
스팀연결시 컴퓨터 USB에 꼽으면 크게 이상없이 바로 인식하게 되고 게임패드가 PC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팀 ➜ 설정 ➜ 컨트롤러" 옵션에서 '게임 진동'에 체크가 되어 있는지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간혹 '게임 진동'에 체크가 안되어 있어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연결
안드로이드 모드에서는 네 번째 LED가 켜집니다. Start+L3를 동시에 3초 동안 누르면 마우스 모드로 전환되며 LED3+ LED4가 켜집니다.
PS3연결
USB 케이블을 통해 PS3에 연결하면 해당 LED 표시등이 고정적으로 켜집니다.
닌텐도 스위치 연결
- "Pro Controller 유선 통신"을 켭니다: 시스템 설정 > 컨틀롤러 및 센서 > Pro Controller 유선 통신 > 켬
- 컨트롤러의 모드 스위치를 "NS 콘솔" 위치로 설정합니다.
- 콘솔에 컨트롤러를 연결합니다.
- 성공적으로 연결되면 LED1이 켜집니다.
개인적으로 직접 추가한 내용
독에 처음 연결할 때는 HDMI이 연결하는 쪽에 게임패드 USB연결을 해야 합니다. 게임패드가 스위치에 등록되면 스위치 독 측면에 있는 USB에 연결해도 동작합니다.
오디오 연결
컨트롤러에는 3.5mm 포트가 있으며, 3.5mm 유선 헤드셋과 마이크를 지원합니다. 이 기능은 NS 콘솔과 유선 연결 모드에서만 작동합니다. 무선 연결이나 PC플랫폼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참고: 컨트롤러와 도크를 케이블로 연결하기 전에 "프로 컨트롤러 유선 통신"을 켜야 합니다.
- 시스템 설정 > 컨트롤러 및 센서 > Pro 컨트롤러 유선 통신 > On
- 도크의 Switch 콘솔을 TV 모드로 설정합니다.
- USB 케이블로 스위치 도크와 컨트롤러를 연결합니다.
- "USB"가 표시된 아이콘은 유선 연결이 성공했음을 나타냅니다.
- 컨트롤러 하단의 오디오 포트에 3.5mm 오디오 잭을 꽂습니다.
STEAM 스위치 프로 컨트롤러 유선 연결
- 오른쪽 조이스틱을 수직으로 아래로 누르고 컨트롤러를 USB 케이블로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첫 번째 LED(LED1)는 안정적인 표시등이 켜지며 컨트롤러가 충전 중에 깜박입니다.
(참고: USB 케이블을 꽂을 때 조이스틱을 바로 아래로 눌러 조이스틱 드리프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드리프트의 경우 조이스틱이 조정되도록 원형으로 움직여 보십시오.) - 스팀에서 프로 컨트롤러로 인식되며 지원되는 게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 기능
매크로 버튼은 컨트롤러 뒷면에 있는 "ML/MR" 버튼으로, 기능 버튼이나 버튼 시퀀스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 설정 방법
- 터보 버튼과 ML 또는 MR 버튼을 동시에 2초 동안 누릅니다. LED2-LED3가 켜지며 매크로 설정 준비 상태가 됩니다.
- 추가하고 싶은 기능 버튼을 차례로 누릅니다.
- 매크로 버튼(ML 또는 MR)을 눌러 입력을 저장합니다
매크로 설정 삭제
- 터보 버튼과 ML/MR 버튼을 동시에 2초 동안 누른 후 같은 ML 또는 MR 버튼을 눌러 설정 모드를 종료합니다. 해당 플레이어 LED 가 다시 켜집니다.
- 모든 매크로 설정을 삭제하려면 터보 버튼과 '-'버튼을 5초 동안 누르고 있으면 컨트롤러가 진동하여 성공을 알립니다.
RGB 조명 설정
- ABCY 버튼 조명 켜기/끄기 : LB+RB 버튼을 동시에 5초 동안 누릅니다.
- 조이스틱 조명 켜기/끄기 : LT+RT 버튼을 동시에 5초 동안 누릅니다.
RGB 밝기 설정
- #RGB 밝기 증가 : 터보 버튼을 누른 채로 왼쪽 조이스틱을 위로 이동합니다.
- #RGB 밝기 감가 : 터보 버튼을 누른 채로 왼쪽 조이스틱을 아래로 이동합니다.
RGB 색상 모드
네 가지 RGB 조명 표시 모드가 있습니다. 터보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Back 버튼을 눌러 세 가지 조명 모드 사이를 전환합니다.
RGB 색상 호흡
색상 호흡 모드는 자동으로 호흡 시퀀스와 변경 사항을 변경합니다.
빨간색 ➜ 주황색 ➜ 노란색 ➜ 녹색 ➜ 청록색 ➜ 파란색 ➜ 보라색 ➜ 하얀색
단일 색상 모드
터보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start 버튼을 눌러 단일 색상 모드 내 다음 각 색상 모드로 전환합니다.
터보 및 자동 연타 기능
터보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
A, B, X, Y, RB, RT, LB, LTA, B, X, Y, RB, RT, LB, LT
수동 및 자동 터보 속도 기능 설정 방법
- 터보 버튼과 기능 버튼을 동시에 눌러 수동 터보 속도 가능을 활성화 합니다.
-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 터보 속도 기능을 활성화 합니다.
- 동일한 방법으로 수동 및 자동 터보 속도 기능을 비활성화 합니다.
터보 속도 3단께 조절
- 최소 : 초당 5회
- 중간 : 초당 12회
- 최대 : 초당 20회
터보 속도 증가
터보 기능이 켜진 상태에서 터보 버튼을 누른 채로 오른쪽 조이스틱을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터보 속도 감소
터보 기능이 켜진 상태에서 터보 버튼을 누른 채로 오른쪽 조이스틱을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모든 버튼의 터보 기능 끄기
토보 버튼을 5초 동안 누르고 있으면 컨트롤러가 진동하며 모든 버튼의 터보 기능이 꺼집니다.
진동 강도 설정
- 진동 강도는 4단계로 조절 가능합니다 : 100%, 70%, 30%, 0%(진동 없음)
- 진동 강도 증가: 터보 버튼을 누른 채로 왼쪽 조이스틱을 위로 이동합니다.
- 진동 강도 감소: 터보 버튼을 누른 채로 왼쪽 조이스틱을 아래로 이동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