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윷놀이 제대로 즐기기: 초보자를 위한 상세 가이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설날에 온 가족이 모여 윷놀이를 즐겼습니다. 윷놀이에 사용되는 윷은 나무를 깎아 만든 4개의 막대기로, 한 면은 둥글고 다른 면은 평평합니다. 윷가락을 던져서 바닥에 떨어지 모양으로 도, 개, 걸, 윷, 모 라고 부르는데 아래 그림 처럼 각각의 명칭은 동물들을 뜻합니다. 윷가락 4개를 던져서 나온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부릅니다. 도(돼지) : 윷가락 한 개만 뒤집어진 경우 - 1칸 이동 개(개) : 윷가락 두 개가 뒤집어진 경우 - 2칸 이동 걸(양) : 윷가락 세 개가 뒤집어진 경우 - 3칸 이동 윷(소) : 윷가락 네 개가 모두 뒤집어진 경우 - 4칸 이동 모(말) : 윷가락 네 개가 모두 엎어진 경우 - 5칸 이동 뒷도(백도) : 4개의 윷가락 중 1개 뒷면에 보통 X 표시를 해 두고 도가 나왔는데 X 표시가 있을 때 - 1칸 뒤로 이동 윷놀이의 도, 개, 걸, 윷, 모는 각각 친근하고 농사에 도움을 주는 동물들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돼지, 개, 양, 소, 말 순서로 되어 있는데, 이는 각 동물이 한 번에 움직이는 거리와 속도, 활동량을 고려해 느린 순서부터 빠른 순서로 정해진 것입니다. 윷놀이 이름의 유래 보통 놀이에 이름을 지을 때 상징되는 것으로 이름을 짓게 되는데 도, 개, 걸, 윷, 모 중 처음에 나오는 도나 마지막 모를 따서 '도놀이'나 '모놀이'라고 안하고 윷놀이라고 하는 이유는 뭘까요? '윷'에 해당하는 동물은 바로 '소'입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소를 이용해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소는 가장 중요하고 소중한 가축으로 여겨졌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윷놀이라는 명칭은 농경 사회에서 소가 지녔던 중요성을 강조하며 비롯된 것이라 전해집니다. 윷 놀이 하는 방법 윷놀이를 하기 위해서는 윷가락 4개, 윷판, 그리고 말이 필요합니다. 말은 보통 한 팀당 4개를 사용하지만, 놀이 시간이 너무 길어져 시간을 줄이고 싶다면 1~2개만으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