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상차림인 게시물 표시

삼우제, 장례 후 꼭 알아야 할 절차: 의미, 준비, 상차림까지 완벽 정리!

이미지
많은 분들이 장례식은 보통 3일 또는 4일장으로 마무리된다고 생각하시지만, 그 이후에도 삼우제와 같은 추가 절차를 진행하는 유족분들이 계십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장례를 마치고 진행하는 중요한 절차인 삼우제의 의미와 진행 방식, 그리고 상차림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삼우제란? 삼우제는 장례를 마친 후 세 번째로 지내는 제사를 뜻합니다. 간혹 '삼오제'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정확한 명칭은 '삼우제' 이며,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장례 절차 중 하나예요. 고인을 떠나보낸 후 세 번째로 지내는 이 삼우제는 돌아가신 분의 넋을 기리고, 남은 가족들이 평안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삼우제를 준비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상조회사나 장례식장을 통해 고인이 돌아가신 장소와 가까운 곳에 빈소를 마련해요. 그 후, 삼일장, 4일장 또는 5일장처럼 충분히 고인을 기리는 장례식을 마친 뒤에 삼우제를 지내게 됩니다. 삼우제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삼우제는 어떤 절차로 지내게 될까요? 먼저 병풍을 치고 돗자리를 깔아 지방을 써 붙이며 위패를 모십니다. 그 후에 술을 올리고 절을 올리는데요. 남자 여자 모두 두 번 절을 올려 마무리를 하게 됩니다. 보통 오전 10시쯤 모든 절차가 끝납니다.  삼우제 날짜 계산하기 삼우제 날짜 계산방법은 전통 상례에서는 두 번째 제사 이후 첫 강일에 지내는 제사로 절차는 초우제와 같이 지냈지만 현재는 장례를 치르고 장례를 마친 후 3일 뒤 아침 일찍 삼우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즉 발인 날 기준으로 2일 째 되는 날 진행하게 되는 것이죠.   예를 들어 6월 10일에 장례식을 마쳤다면 6월 12일에 삼우제를 치르게 됩니다. 요즘에는 초우제, 재우제는 생략하고 삼우제만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삼우제를 지내는 장소는? 삼우제 제사의 장소 또한 고인을 모신 곳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보통 묘지로 모신 경우엔 고인을 위한 간소한 상차림과 예절을 갖춘 인사를 올려 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