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월세인 게시물 표시

쉬운 설명 : 전세, 월세, 매매 차이점 정리

이미지
  사람들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집 관련해서 "나 집 샀어", "전세로 이사갔어", "지금 월세가 너무 비싸" 같은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습니다. 이미 알고 있다면 어려운 말은 아니지만 사회초년생으로 아리송 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집에관련 매매, 전세, 월세에 대해서 쉬운 설명으로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리송하게 알고 계셨다면 한번 가볍게 읽어 보고 개념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매매란 뭔가요? 매매는 쉽게 말해 집을 사고, 파는 것을 말합니다. 집같이 땅에 붙어 있어 움직일 수 없는 자산을 부동산이라고 하는데 부동산의 소유권을 가격을 지불하고 사고 파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집을 사고 파는 것을 매매한다라고 합니다. 이런 매매 대상은 아파트, 빌라 등의 집 말고도 토지나 상가 등도 해당이 되고 매매는 완전히 내 소유가 되기 때문에 아래 설명할 전세, 월세와는 달리 해당 매매한 집의 주인이 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소유가 완전히 내거이기 때문에 내 마음대로 집을 고치는 리모델링하거나 나중에 다시 팔 수도 있습니다. 또한 전세나 월세를 줄 수 도 있고, 나중에 자녀에게 상속해 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매매의 단점은 온전히 사는 것이기 때문에 집 가격을 모두 지불 해야 합니다. 그래서 비용이 많이 들고 여기에 더해서 집을 구입하면 내야하는 세금 취득세, 등록세와 중개 수수료 등의 추가 비용도 생깁니다. 만약 집을 구입할 때 세금과 중개 수수료 비용까지 지불할 돈이 충분히 있다면 문제가 없지만 집 가격이 워낙 큰 금액이기 때문에 대출을 받는다면 대출 이자 까지도 부담이 되니 꼼꼼히 따져 봐야 합니다. 집을 매매 할때는 딱 집 가격의 돈만 준비 해서는 안되고 내야할 세금 비용과 수수료 등의 비용, 대출 받는다면 대출 이자비용까지 생각해서 매매 계획을 해야 합니다. (세금과 중개 수수료는 생각보다 큽니다 ㅜㅜ) 전세란 뭔가요? 전세는 세계적으로 한국에만 있는 독특한 주...